SMALL
📁 티스토리 카테고리 생성 방법
✅ 방법 1: 관리자 페이지에서 생성
-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
- 상단 메뉴에서 [관리] 클릭
- 왼쪽 메뉴에서 [카테고리] 클릭
- 오른쪽 상단의 [+ 카테고리 추가] 클릭
- 카테고리 이름 입력 → 필요 시 하위 카테고리도 설정 가능
- 저장 버튼 클릭
이 방식은 글을 작성하기 전 미리 카테고리를 정리할 때 좋아요.
✅ 방법 2: 글쓰기 화면에서 바로 생성
- 글쓰기 화면으로 이동
- 오른쪽 사이드바(혹은 상단 메뉴 depending on UI)에서 카테고리 선택 항목 찾기
- 드롭다운에서 [+ 새 카테고리] 또는 [카테고리 관리] 선택
- 새 카테고리 이름 입력 후 저장
글을 쓰면서 바로 카테고리를 추가하고 싶을 때 간편하게 쓸 수 있어요.
💡 팁
- 카테고리는 글 정리에 아주 중요하니, 너무 많지 않게 적당히 분류하는 게 좋아요.
- 카테고리 이름은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설정하는 게 독자들에게도 편리합니다.
애드센스에 글을 올릴 때 CCL(Creative Commons License,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) 를 꼭 설정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.
✅ CCL이란?- 글, 이미지, 영상 등 창작물의 저작권 사용 조건을 명시하는 방식이에요.
- 예: "이 글은 출처만 표시하면 자유롭게 사용해도 됩니다" 같은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요.
✅ 애드센스와 CCL 관계
✍️ 추천 방식- 직접 쓴 글 + 직접 만든 이미지 → CCL 설정 안 해도 괜찮아요.
- 공유 가능한 콘텐츠를 포함했을 경우
→ 출처 + 라이선스 표기(Creative Commons에서 허용한 범위 내에서 사용)
🔒 내 글 무단 복제 방지하고 싶다면?- 티스토리 설정에서 복사 방지 설정 켜기
- 본문에 "© 작성자 이름, 무단 복제 금지" 같은 문구 추가
- CCL 중 “저작자표시-비영리-변경금지” (BY-NC-ND) 같은 강한 조건 설정
- 항목설명
CCL 설정 필수? ❌ 아니요. 애드센스는 CCL 설정을 요구하지 않아요. 내 글을 보호하고 싶다면? 저작권을 명확히 하거나, CCL을 설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. 타인의 자료(사진, 글 등)를 사용할 때 ✅ CCL을 확인하고, 허용 범위 내에서 사용해야 합니다. 수익화에 영향 있음? CCL 자체가 애드센스 수익화에 영향을 주지는 않아요. - 하지만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상황에 맞게 결정하면 좋아요:
좋은 포인트예요!
다른 사람이 쓴 글이나 콘텐츠를 사용할 때는 그 사람의 CCL(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) 조건을 꼭 확인해야 해요.
아래에 확인하는 방법 정리해봤어요 👇
🔍 1. 글에 CCL 표시가 있는지 확인
많은 블로거나 창작자들은 아래 방법 중 하나로 CCL 정보를 공개해요:
- 본문 하단이나 블로그 사이드바에 CCL 배지/문구 표시
예: - "이 글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-비영리-동일조건변경허락 4.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."
- 아이콘으로 표시된 경우도 있음:
🄯 BY / NC / ND / SA 등 (이건 CCL 조건의 축약형이에요)
🖥️ 2. 블로그나 웹사이트 하단/사이드바 확인
- 일부 사람들은 사이트 전체에 대해 CCL을 설정해놓기도 해요.
- 블로그 하단에 "CCL 라이선스 안내" 또는 “저작권 정책” 이란 이름의 링크가 있는지 확인하세요.
🌐 3. 없다면, 무단 사용 금지로 간주
- CCL이 명시되지 않았다면, 원칙적으로는 저작권이 보호되는 콘텐츠예요.
- 즉, 출처를 밝혀도 저작자 허락 없이 복사하거나 수정해서 사용하면 안 됩니다.
✅ 추가 팁: CCL 조건 해석 간단 요약
아이콘의미설명
🄯 BY | 저작자 표시 | 출처를 반드시 남겨야 함 |
NC | 비영리 | 상업적 용도 사용 금지 (애드센스 포함 주의) |
ND | 변경 금지 | 수정/편집 금지 |
SA | 동일조건 변경허락 | 수정은 가능하지만 같은 라이선스로 공유해야 함 |
예를 들어, “BY-NC”는 출처만 남기면 자유롭게 쓸 수 있지만 수익 목적 사용은 안됨!
📝 티스토리 임시저장 글 불러오는 방법
✅ 1. 티스토리 블로그에 로그인
- https://tistory.com 접속 후 로그인하세요.
✅ 2. 관리자 페이지 또는 글쓰기 화면으로 이동
-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[글쓰기] 버튼을 클릭하거나
- 블로그 상단 메뉴에서 [글쓰기] 눌러도 됩니다.
✅ 3. 임시저장 글 목록 확인하기
- 글쓰기 화면 우측 상단 또는 좌측 메뉴(에디터 UI에 따라 다름)에
[임시저장 글] 또는 [임시저장 목록] 이라는 메뉴가 보여요.✅ 4. 원하는 글 클릭해서 불러오기
- 목록에서 불러오고 싶은 글을 클릭하면 해당 글이 에디터에 불러와집니다.
- 이어서 수정하거나 발행하면 됩니다.
💡 참고사항
- 티스토리는 자동으로 일정 시간마다 자동 임시저장을 해줘요.
- 하지만 너무 오래된 임시글은 자동 삭제될 수도 있으니, 자주 저장하거나 빨리 발행하는 게 좋아요!
- 임시저장은 PC와 모바일 앱에서 모두 가능하지만, 불러오는 방법은 UI가 조금 다를 수 있어요.
'정치.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🔬 양자컴퓨팅, 미래를 연다: 양자·양자역학·양자컴퓨터의 모든 것 (5) | 2025.04.15 |
---|---|
만우절의 악몽 – 관세 전쟁 (15) | 2025.04.01 |
애드센스 수익창출 방법 (6) | 2025.03.29 |
초보 탈출! 주식투자의 개념과 방법 한눈에 보기 (13) | 2025.03.26 |
쓱 훑고 지나가는 은행 예금의 모든 것! (2) | 2025.03.26 |